린나이 보일러 고장및 에러코드, AS 신청과 자가진단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보일러를 사용하다가 갑자기 컨트롤러에 알수없는 코드가 뜨며 보일러가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지 않을때 당황할수 있는데요.
늦은 밤이거나 주말 또는 휴일의 경우 서비스센터 연락도 되지 않아 난감할수 있습니다. 이때 온도조절기의 에러코드에 대해서 알고 있으면 의외로 간단한 문제일 수 있습니다. 그럼 린나이 보일러 고장 에러코드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린나이 보일러 고장 에러코드
에러코드 [1, 2]
린나이 보일러 에러코드 1번, 2번은 통신오류로 실내의 온도조절기와 보일러 사이에 통신이 원활하게 되지 않을경우 발생하게 됩니다. 보일러의 전원코드를 뽑은 후 다시 꽂아서 상태를 확인하고 증상이 반복되면 서비스센터에 문의해야 합니다.
에러코드 [11, 12]
린나이 보일러 에러코드 11번은 가스공급이 원활하지 않을때 발생합니다. 먼저 집에 가스공급이 잘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이상이 없다면 보일러 전원을 뽑은 후 다시 꽂아서 확인해야 합니다. 증상이 동일하다면 서비스센터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에러코드 [16]
린나이 보일러 에러코드 16번은 보일러 과열이 생겼을때 발생합니다. 난방수 순환이 되지 않아 발생할 수 있으므로 먼저 보일러 밑 분배기가 열려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리고 수전에서 온수방향으로 틀었을때 물이 나오지 않는다면 배관이 동결된 상태이니 배관을 따뜻하게 하여 녹여줘야 합니다.
에러코드 [17]
에러코드 17번은 보일러에 누수가 생겼을때 발생합니다. 보일러는 온수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물보충을 하게 되는데 이때 물보충이 과도하게 자주 일어날때 나타납니다.
보일러실에서 바닥에 누수가 있는지 확인하고 보일러 설치점이나 서비스센터에 연락을 해야 합니다.
에러코드 [21. 22]
에러코드 21번, 22번은 보일러 배기계통에 문제가 생긴것으로 엔지니어 점검이 필요합니다. 엔지니어 점검 요청전에 전원코드 리셋을 해보는것도 해결이 될수 있습니다.
에러코드 [31, 32, 33, 34, 35, 36, 38]
에러코드 31번, 32번, 33번, 34번, 35번, 36번, 38번은 보일러 내부의 온도센서에 문제가 생겼을때 발생하는 오류 코드입니다.
보일러 본체 전원을 뽑았다가 다시 꽂은 후,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증상이 동일하다면 서비스센터에 연락을 해야 합니다.
이외에도 많은 에러코드가 있지만 대표적인 에러코드만 정리했습니다. 위에 해당하는 에러코드가 없다면, 린나이 보일러 공식홈페이지에서 제품의 사용설명서를 참고하시면 알수 있습니다. 모델별 사용설명서는 아래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린나이 보일러 FAQ
린나이 공식 홈페이지에는 많이 발생하는 증상에 대한 해결방법을 FAQ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알려드린 위 내용과 동일증상이 없다면 AS 신청 하기전 FAQ 게시판을 확인하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린나이 보일러 AS 신청하기
린나이 보일러 AS 신청방법은 서비스센터 대표전화(1544-3651)로 하거나 온라인에서 쉽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방법은 린나이 공식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며, 신청자 정보, 제품 모델명, 고장 증상에 대해서 작성하고 신청이 가능합니다.
단, 수리여부와 상관없이 기본출장비 20,000원이 발생하며, 토/일/공휴일에는 24,000원이 발생하게 됩니다.
린나이 보일러 보증기간 및 요금
린나이 보일러의 품질 보증기간은 보일러를 구입한 날 또는 설치일자가 기준이 되며 기준일로부터 3년 입니다. 설치 후 3년동안은 무상보증이 가능하며 3년이 지나면 유상으로 수리가 진행 됩니다.
유상수리 비용은 부품비와 출장비 그리고 기술료(수리비)를 합산한 금액이 청구 됩니다. 보통 보일러는 고장이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무상수리기간에 조금이라도 이상증상이 있다면 점검을 받아보는것이 좋습니다.
보다 자세한 서비스요금 산정기준과, 유상수리 비용에 대한 산정기준은 아래 링크로 남겨두겠습니다.
마치며
오늘은 린나이 보일러 고장 에러코드와 AS 신청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위 내용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